2025 교육급여 혜택, 바우처 카드 사용처, 수급자 조건

2025년 교육급여 혜택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함께 교육급여 금액 및 지원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바우처 사용처, 수급자 조건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한 후 빠르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교육급여란

교육급여는 저소득층 가구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학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학습비, 교재비, 학용품비 등을 지원하는 복지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학생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돕는 최저한의 교육 보장을 목적으로 하며,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교육급여를 최초 신청 시 교육급여 대상자로 먼저 확정되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보장결정 통지를 받은 학생은 바우처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① (시, 군, 구) 소득, 재산조사 진행

② (학교) 학생 재학 여부 등을 확인하여 급여 보장 대상자를 결정한 후 신청인에게 결정 결과 통지

③ (교육청) 월 단위로 급여 대상자 확정


2025년 교육급여 수급자 조건

소득인정액 선정 기준

교육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에 속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 지원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의 교육급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에게 지원됩니다.

가구원 수2025년 소득인정액
1인1,196,007
2인1,966,329
3인2,512,677
4인3,048,887
5인3,554,096
6인4,032,403
<2025년 교육급여 소득인정액 기준>



의무부양자 • 근로능력 기준

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및 근로능력 기준을 적용되지 않습니다.


2025년 교육급여 혜택

초중고 학생에게 교과서대금, 부교재비 및 학용품비, 입학비, 수업비 등을 지원됩니다.


교육활동지원비

2025년 교육활동지원비가 전년도보다 25,000원~41,000원 인상되었습니다.

대상2024년2025년
초등학생461,000 원487,000 원
중학생654,000 원679,000 원
고등학생727,000 원768,000 원


교과서비, 입학금•수업료

고등학교 학생은 교과서비, 입학금 및 수업료를 실비로 지원받게 됩니다. (단, 무상교육은 제외)

교과서비는 해당 학년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목의 교과서 금액 전체를 연 1회 지원받습니다. 입학금•수업료는 연도별, 급지별 학교장이 고지한 입학금 및 수업료 전액을 지원 받습니다. 입학금은 입학시 1회, 수업료는 분기별 지급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교육활동지원비는 현금 아닌 바우처(카드 포인트)로 연1회 지급됩니다. 바우처 사용처는 학원, 학습지, 온라인 교육 플랫폼, 학용품 및 교재 구매 등 아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흥업소, 청소년 출입불가 장소, 성품권•성인용품 판매점 등 비교육적 업종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서점 및 문구점: 교재, 참고서, 필기구 등 구입 가능
  • 온라인 서점: 인터넷 교재 및 학습 콘텐츠 구매
  • 방과후 수업: 학교 내 방과후 프로그램 수강료 결제
  • 체험학습: 박물관, 과학관, 미술관 입장료 등
  • 온라인 학습: 인강(인터넷 강의), 학습 앱 등
  • 의류 구입: 체육복, 교복 구매
  • 편의점 : CU, 세븐일레븐 등 대부분의 편의점에서 간식 이나 문구류 등 구입 가능
  • 온라인 몰 : 쿠팡, G마켓, 마켓컬리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교재나, 학습용 컴퓨터, 태블릿, 필기구 등 구입 가능
  • 대형마트, 백화점, 음식점 등 가능


교육급여 바우처 이용 가능 카드

교육급여 바우처는 카드 포인트 형식으로 지급되어 다음과 같은 본인 명의의 카드가 필요합니다. KB국민, BC카드 제휴 금융기관이 아닌 카드는 이용할 수 없으며, 신용카드/ 체크카드/ 간편결제 중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카드사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카드발급이 곤란할 경우, 기명식 선불카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구분교육급여 바우처 카드사
카드사KB국민, BC카드, NH농협,롯데,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카드
KB국민 제휴 금융기관IBK기업은행,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우체국, 신협,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BC 제휴 금융기관KB국민, 현대카드, NH농협, 하나, 롯데, 우리, 삼성, 신한
간편결제페이코


Q&A

📌 카드사 전월 실적에 바우처도 포함될까요?

바우처 사용금액도 카드사 전월 실적에 포함됩니다. 다만, 카드사마다 일부 상이할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 카드사에 문의해야해요.


    📌카드사 자체 앱카드(결제앱)으로 바우처 사용할 수 있나요?

    온라인 결제시 카드사에사 BC페이북, KB pay 등 자체 앱카드 방식으로도 바우처 사용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상점에서 바우처 사용시 가급적 카드로 결제하기시 바랍니다.


    📌보유 카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어떻게 하나요?

    바우처를 배정받은 카드사를 통해 카드를 재발급받습니다. 만약, 동일한 카드사의 다른 카드를 보유하고 있다면 추가 재발급없이 보유한 카드로 바우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를 배정받은 카드사의 카드 종류 상관없이 결제 시 바우처 우선 차감됩니다.


    📌 바우처로 할부결제 가능한까요?

    바우처로 할부결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바우처로 교통비 결제 가능한가요?

    열차나 시외버스 등 단건 즉시 결제 시에서는 바우처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하철, 시내 버스 등 교통카드 충전 결제 또는 후불 교통비 결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바우처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나요?

    바우처를 현금으로 전환활 수 없습니다.


    📌카드 분실되거나 파손된 경우는 어떻게 해야되나요?

    카드 통해 교육급여 바우처 배정받았다면 해당 카드사로, 간편결제로 바우처를 배정받았다면 해당 간편결제사 통해 재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 다른 지불수단과 복합결제 가능한가요?

    바우처 잔액과 함께 복합결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이 6만원을 결제 시 바우처 잔액 4만원인 경우 나머지 2만원은 다른 지불수단 통해 본인 부담으로 지불합니다. 또한, 카드사 포인트, 다른 바우처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